안녕하세요?
JGOCAFE24 운영자 이재고입니다.
JGOCAFE24 사이트에 적용된 구글애즈 동적 리마케팅 서비스에 대해서 안내합니다.
동적 리마케팅에 대해서는 아래 내용을 참고해주세요.
동적 리마케팅을 사용하여 사이트 방문자에 맞게 광고 게재 : https://support.google.com/google-ads/answer/3124536
네. 맞습니다. 동적 리마케팅은 광고를 더효율적으로 하기위해서 셋팅하는 것 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표준 리마케팅은 사이트에 방문한 고객을 잠재고객으로 분류하여, 구글애즈에 등록된 광고를 노출합니다.
동적 리마케팅은 고객의 행동을 분석하여 등록된 광고 및 상품을 노출합니다.
즉, 예를 들어 동적 리마케팅에서는 특정 상품을 조회한 잠재고객에게 해당 상품의 배너만 노출이 가능하고
장바구니 추가를 한 고객에게 그 장바구니 상품만 노출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구글애즈를 통한 광고의 효율을 극대화하려면 동적 리마케팅은 필수사항입니다.
문제는 이 동적 리마케팅 셋팅이 너무나 어렵다는 것 입니다.
향상된 전자상거래처럼 참고할 수 있는 개발가이드등이 없어서, 적용까지 상당히 힘든 작업이었습니다.
이러한 고생하지마시고, 저에게 맡겨주세요. ^^
* 동적 리마케팅을 적용하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습니다.
1. 구글 애널리틱스 측정기준을 통한 잠재고객 리마케팅
2. 구글애즈의 이벤트 태그를 통한 잠재고객 리마케팅
두가지 중에 무엇이 더 좋다고 결정하기는 어렵습니다.
가장 큰 차이점만 이야기를 하면,
구글 애널리틱스는 특정 페이지 방문을 기준으로 잠재고객을 구분합니다.
구글애즈는 특정 페이지 방문 또는 행동을 기준으로 잠재고객을 구분합니다.
상품을 장바구니에 추가한 사용자를 예를 들면,
구글 애널리틱스는 장바구니 페이지에 방문했지만, 구입을 안한 사용자를 잠재고객으로 설정합니다.
구글애즈는 장바구니 추가를 했지만, 구입을 안한 사용자를 잠재고객으로 설정합니다.
즉,
구글 애널리틱스는 장바구니 추가를 했지만, 장바구니 페이지에 방문하지 않았다면
상품 조회만 한 잠재고객으로 설정합니다.
하지만, 걱정마세요. 둘 다 적용해드립니다.
각각의 차이점에 대해서는 서비스 적용시에 문의주시면 잘 설명해드리겠습니다.
현재 동적 리마케팅으로 설정된 잠재고객 설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제품을 조회한 사용자
- 장바구니 이탈자
- 이전 구매자
그럼 샘플사이트에서 잘 적용이 되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동적 리마케팅 작동 확인도 Tag Assistant 로 가능합니다.
동적 리마케팅 태그가 잘처리되는지 확인을 위해서 아래 상품으로 들어가보세요.
Tag Assistant 에서 Google Ads Remarketing Tag 를 클릭합니다.

하단의 Requests 를 눌러보세요.

상품조회에 대한 구글애즈 동적 리마케팅 태그가 잘 작동하고 있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는 Google Analytics 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Pageview Requests 를 클릭하고, Custom Metrics 를 클릭하면 확인이 가능합니다.
product 가 현재 상품조회 페이지라는 내용입니다.
서두에 언급한 것 처럼, 동적 리마케팅 설정은 상당히 어려운 작업입니다.
광고를 꽤 많이하는 업체들도 동적 리마케팅이 아닌 표준 리마케팅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Tag Assistant 로 확인해보세요. ^^;;)
광고의 효율 극대화를 위해서 동적 리마케팅 설정 고려해보세요~
혹, 적용된 서비스에 궁금한 부분이 있다면 문의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확인하고 답변을 달아드리겠습니다.